Light의 Detail을 보면 Transform 제일 아래에 Mobility라고 나온다.
Light에서 Mobility 설정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도록 하자.
1. Static
Light의 설정이 인게임상에서 바뀔 수 없다.
색상이나 빛의 강도, 위치, 방향 모두 불가능하다.
하지만 가장 빠르게 계산이 된다. 이 Light는 변경이 필요없는 만큼 많은 계산이 필요 없으므로 빠르게 계산을 한다.
또한 그림자가 이 Static한 Light에서 생성된다는 것을 알고 있을 때 Light를 Bake할 수 있다.
Light를 Bake한다는 것은 그림자가 생성되는 곳을 미리 알고 있으니까 미리 만들어 놓는다고 생각하면 된다.
Bake를 하면 게임이 실행되기 이전에 계산이 되는 작업이기 때문에 훨씬 가볍게 사용할 수 있다.
2. Staionary
Staionary는 인게임에서 색상과 빛의 세기는 변경이 가능하지만 위치는 변경할 수가 없다.
이 기능은 부분적으로 Bake된 조명을 허용한다.
움직이지 않는 정적인 물체에게 빛을 비추는 Staionary Light는 Bake할 수 있다.
3. Movable
가장 계산적으로 비용이 많이 들어가고 가장 드물게 사용되지만 가장 역동적인 효과를 낼 수 있다.
빛을 움직일 수 있고 빛의 색상, 세기 또한 변경이 가능하다. 태양과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된다.
Movable을 사용하면 역동적인 그림자를 만들 수 있다.
'Unreal 게임 개발 > Unreal Tool 활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Unreal Landscape - 2 (2) | 2022.12.28 |
---|---|
Unreal LandScape - 1 (0) | 2022.12.27 |
Unreal 조명과 분위기 (Atmosphere & Light Source) - 3 (2) | 2022.12.27 |
Unreal 조명과 분위기 (Atmosphere & Light Source) - 1 (2) | 2022.12.26 |
Unreal 뷰포트 움직임 (0) | 2022.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