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real Socket Unreal을 통해서 게임을 만들 때 캐릭터에게 무기를 주어지게 할 때가 있다. 이때 Socket을 활용하면 편하다. 캐릭터의 Skeleton에 들어가서 Skeleton Tree에서 hand를 검색했을 때의 결과이다. 이때 hand_r을 선택했고 Rotate를 돌려보면 오른쪽 손이 돌아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hand_r에서 우클릭 후 Add Socket을 선택하면 Socket이 추가가 된다. 추가된 Socket은 hand_r 하위에 존재하기 때문에 hand_r이 움직이거나 회전하게되면 함께 움직이고 회전한다. 위 사진처럼 오른쪽 손에 넣어줄 장비를 미리 선택해서 확인해볼 수 있다. 위에서는 sword를 선택해서 Socket에 넣어보면 이상하게 나타난다. 우리가 생각한것은 무기를 잡고있는 캐릭터인데 .. 2023. 3. 8. Unreal Inverse Kinematics(역 운동학) Unreal Animation을 공부하다가 Inverse Kinematics와 관련해서 공부를 하게 되서 블로그로 남기게 되었다. 현재 캐릭터가 서있는 모습을 보면 다리가 어색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자세에서 다리를 땅에 따라 자연스럽게 하기 위해서 Inverse Kinematics를 사용한다. Inverse Kinematics Inverse Kinematics는 Skeleton에서 특정한 bone을 움직일 때 사용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위 사진과 같이 나와 있는 다리의 bone을 조정해서 자연스럽게 만들어주는 것이다. 위 사진을 자연스럽게 만들기 위해서는 (편의상 계속 사진상으로 방향을 설명한다) 오른쪽 다리가 굽어져야한다. 굽이는 동작에서 bone을 위로 접어야 굽어지게 된다. 이 bone을.. 2023. 2. 13. Unreal PostProcess PostProcess는 렌더링 직전에 전체 씬에 적용되는 효과이다. 이것을 적용시켜보는 방법을 알아보자 Place Actors Panel에서 PostProcess를 검색해보면 PostProcessVolume이 나온다. 이것을 씬으로 끌고 오면 PostProcess Box가 나타난다. 이 Box 범위가 PostProcess가 적용되는 범위가 된다. 전 영역에 대해서 적용을 하고 싶다면 Detail Panel에서 infinite를 검색하면 Infinite Extent가 나타난다. 여기서 체크를 해주면 모든 범위에 대해서 적용이 된다. PostProcess에서 Temperture를 변경하는 결과이다. 온도가 낮아질수록 전체적으로 푸르게 변하고 올라가면 붉게 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Bloom을 검색해서 .. 2023. 1. 10. Unreal foliage 이전까지는 Landscape로 맵을 만들어 보았다. 아직까지 그냥 밋밋한 바닥만 있을 뿐 풀이나 나무 같은 환경적인 요소는 없었는데 이것을 foliage로 만들 수 있다. Foliage Mode는 다음과 같이 선택을 하거나 Shift + 3을 통해 들어간다. 그리고 이 프로젝트의 경우에는 Megascan에서 무료로 Asset들을 다운 받았다. Megascan으로 많은 Asset을 다운 받았고 파일 하위에 Foliage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Foliage들이 옆에 나오는 풀들이다. 추가하는 방법은 굉장히 쉽다. Foliage들을 선택해서 위 사진 기준 좌측상단이 추가를 하지 않았다면 비어있을 텐데 드래그 & 드랍하면 된다. 아니면 좌측 상단에 +Foliage가 있는데 거기서 찾아서 추가를 하는.. 2023. 1. 3. Unreal Landscape - 3 이제 Landscape에 Material을 적용해보면 된다. Mega scan에서 Material을 다운받은 뒤 Add를 해주었다. 저 같은 경우는 따로 폴더를 만들어서 Landscapce에 적용하려고 했다. 새 폴더에서 우클릭 후 Material을 선택하고 생성한다. 그리고 Material의 이름은 가장 앞에 M_ 를 넣는것이 이후에 Material인 것을 인지하거나 찾기가 쉽다. 생성된 Material을 더블클릭해서 들어가보면 다음과 같이 나온다. 우리는 이 Material로 Landscape를 만들것이다. 제 Landscape를 보여주자면 중앙에 사막이 존재하고 가장자리에는 산이 존재한다. 그래서 사막에서 조금씩 풀이 자라는 형태로 만들 예정이다. 그렇게 진행하기 위해서는 여러가지 Material를.. 2022. 12. 29. Unreal LandScape - 1 Landscape란? Landscape는 실제 그리드에 배치된 여러 메쉬이다. 메쉬를 형성, 조각하고 울퉁불퉁하게 만들거나 구불구불한 언덕도 만들 수 있다. Landscape 만들어 보자 Level 이름 밑에 Select Mode라고 되어있는 드롭다운을 클릭하면 Landscape라고 나온다. 이 Landscape를 클릭하면 이렇게 쭉 길다란 초록색 격자 평선이 나온다. 이것을 위에서 바라보면 크기가 굉장히 크다. 이것이 하나의 Landscape를 만들면 얼만큼의 크기에 적용되는지 보여주는 것이다. 이때 초록색 큰 사각형(64개) 하나하나가 독립적인 Component이다. 위의 사진이 방금처럼 처음 Landscape를 만들면 좌측에 생기는 창이다. Number of Component를 보면 8x8로 되어있.. 2022. 12. 27. Unreal 조명과 분위기 (Atmosphere & Light Source) - 1 Unreal에는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Atmosphere와 Light Source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Sky Atomosphere, Directional Light, Sky Light, Exponential Height Fog, Volumetric Clouds 등이다. 이런 요소들이 모여서 하늘을 만든다. 1. Sky Atmosphere 이 기능은 광원이 있으면 실제 지구처럼 빛을 산란시켜 아름다운 하늘을 만들 수 있는 기능이다. 일몰과 일출에서 보는 효과도 구현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두개의 Sky Atmosphere 광원을 가질 수 있어서 하나는 태양, 하나는 달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2. Directional Light Directional Light는 Sky Atmosphere와 매우 밀접하.. 2022. 12. 26. 이전 1 다음